공시기준이율 적용현황
-
조회조건
단위: %
보장(무배당) | 연금(무배당) | 연금(배당) | 저축(무배당) | 연금저축(배당) | |
---|---|---|---|---|---|
공시기준이율 | 3.19 | 3.19 | 3.19 | 3.19 | 3.19 |
적용률 | 3.19 | 3.19 | 3.19 | 3.19 | 3.19 |
적용이율 | 3.19 | 3.19 | 3.19 | 3.19 | 3.19 |
꼭 알아두세요
- 공시기준이율 = 외부지표금리 X 외부지표금리 가중치(α) + 운용자산이익률 X 운용자산이익률 가중치(1-α)
- 외부지표금리는 시장의 실세금리를 반영하는 것으로 국고채(5년), 회사채(무보증3년, AA-), 통화안정화증권(1년), 양도성예금증서(91일)의 유통수익률은 공시기준이율 적용 시점의 전전월 말 직전 3개월 가중이동평균이율을 통해 산출합니다.
- 외부지표금리(%) = 국고채(5년) 수익률 x 국고채 가중치(ß1) + 회사채(무보증 3년, AA-) 수익률 X 회사채 가중치(ß2) + 통화안정화증권(1년) 수익률 x 통화안정화증권 가중치(ß3) + 양도성예금증서(91일) 수익률 x 양도성예금증서 가중치(ß4)
- 국고채 가중치(ß1), 회사채 가중치(ß2), 통화안정증권 가중치(ß3), 양도성예금증서 가중치(ß4)는 다음 공식으로 산출하며 a, b, c, d는 각각 회사가 보유한 국내 발행 국고채(a), 회사채(b), 통화안정화증권(c), 양도성예금증서(d)의 직전 연도 평균잔고(월평균잔액 평균)를 적용합니다.
- 국고채 가중치(ß1) = a÷(a+b+c+d)
- 회사채 가중치(ß2) = b÷(a+b+c+d)
- 통화안정증권 가중치(ß3) = c÷(a+b+c+d)
- 양도성예금증서 가중치(ß4) = d÷(a+b+c+d)
- 운용자산이익률은 「보험업감독규정」에 따라 운용자산수익률에서 투자지출률을 차감하고 산출합니다.
- 운용자산은 당기손익에 반영되지 않은 운용자산 관련 미실현손익을 제외한 금액을 기초로 계산합니다.
- 시가평가되는 변액보험의 부채변동성을 헤지(hedge)하기 위해 일반계정에서 운영하는 파생상품의 손익은 제외합니다.
- 가중치: 외부지표금리와 운용자산이익률의 가중치는 다음 공식으로 산출하며 A, B, C는 각각 직전 연도 초 계약자적립액(A), 자산의 직전 연도 말 듀레이션(B), 직전 연도 보험료 수입(C)를 의미합니다.
- 외부지표금리 가중치(α) = (A÷B+C)÷(A+C)
- 운용자산이익률 가중치(1-α) = 1-(A÷B+C)÷(A+C)
- 「보험업감독규정」 제7-65조에 따라 적용공시이율은 위의 공시기준이율을 기준으로 조정률을 가감해서 산출합니다.
- 자세한 내용은 [ 공시실 > 상품공시실 > 전체상품공시 > 전체상품조회 ] 에서 상품별 사업방법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