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우수고객 안내

고객님을 위한 우수 고객 전용 서비스는
MY교보 > 혜택 > 교보 노블리에 서비스 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고객님을 위한 우수 고객 전용 서비스는
MY교보 > 혜택 > 교보 노블리에 서비스 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키보드 Crtl버튼과 마우스휠 "상하"로 움직이면
"확대" "축소"가 가능합니다.
지난 시간에 과거 급제를 이야기했습니다.
그런데 과거에 급제하자마자 ‘고생 끝! 행복 시작!’이 되는 것은 아니었습니다.
비로소 고달프고 힘든 직장생활 (벼슬길)이 시작하게 되는 것이었지요.
그리고 당연하지만, 결코 쉽지 않은 길이었습니다.
과거에 급제하면 곧장 임용이 되는 게 아니라 1~2년이 있어야 관직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조선시대의 관직은 18품 30계로 되어 있습니다. 장원급제를 하게 된다면 6품 부터 시작합니다.
조선 말기가 되면 관직은 한정되었는데 사람을 계속 뽑아 빈자리가 나질 않았습니다.
그렇다고 과거를 치르지 않으면 양반들이 불만을 가지는 고로 어쩔 수 없었고 결국 임용도 안 된 실직자들이 양산되었습니다.
품계 | 직책 | 오늘날 | 급 | ||
---|---|---|---|---|---|
18품 | 30계 | ||||
1품 | 정 | 상 | 여의정을 비롯한 정승 | 국무총리 | 당상관(임금이랑 함께 나라일을 의논할 때 당 위에 올라갈 수 있음) |
하 | |||||
종 | 상 | 찬성 | 부총리 | ||
하 | |||||
2품 | 정 | 상 | 판서 | 장관 | |
하 | |||||
종 | 상 | 참판 | 차관보 | ||
하 | |||||
3품 | 정 | 상 | 참의,목사,부사,승지 | 관리관 | 당하관(당 아래 있다는 뜻) |
하 | |||||
종 | 상 | 집의,사관 | 이사관 국장 | ||
하 | |||||
4품 | 정 | 상 | 군의,사의 장령 | 부이사관 | |
하 | |||||
종 | 상 | 겸력,첨정 | - | ||
하 | |||||
5품 | 정 | 상 | 현령, 판관 | 서기관 | |
하 | |||||
종 | 상 | 겸력,첨정 | 군수 | ||
하 | |||||
6품 | 정 | 상 | 좌랑, 감찰 | 사무관 | 참상관(6품을 기준으로 분류 됨.) |
하 | |||||
종 | 상 | 현감, 찰방 | - | ||
하 | |||||
7품 | 정 | 박사 | 주사 | 참하관 | |
종 | 직장,저작 | 주사보 | |||
8품 | 정 | - | - | ||
종 | - | - | |||
9품 | 정 | 정사,훈도 | 서기 | ||
종 | 참봉 | 서기보 |
여기서 잠깐!
여성에게도 품계가 있었습니다.
정1품은 빈, 공주, 옹주, 군부인, 그리고 정경부인이었습니다. 귀인이나 소의, 숙의는 당상관 곧 정3품 이상이었습니다.
상궁은 정5품이었고 정6품 상침, 정7품 전의, 종8품 전등, 그 아래 종9품 주징 등등 여자들의 품계도 모두 빼곡하게 정해져 있었습니다.
당상관 자리는 조선을 톡톡 털어 100개 남짓에 불과했고, 그나마도 높은 관리들이 혼자서 두 세 직을 겸했기에, 고인물의 극치라고 할 수 있었습니다.
바로 끝없이 출세하고 승진하면 됩니다!
6품 아래 하급관리는 450일 근무 일 수를 채우면 승진을 했습니다. 하지만 6품 이상은 900일을 근무해야 승진할 수 있었습니다.
물론 날짜만 채운다고 되는 일은 아니었습니다.
1년 중 2번 고과성적을 매기는데, 이걸 10번 해서 모두 상(上)을 맞으면 1급 특진, 2번 중(中)을 맞으면 1)녹봉을 못 받게 되어 2)무록관, 3번 중(中)을 맞으면 파직되었습니다.
단순 계산으로 과거 꼴등, 그러니까 종9품으로 시작한 관리가 정1품이 되려면 고과에 단 한 번도 실수 없이 38년 이상을 근무해야 했다는 것인데, 당연히 불가능했습니다.
그러니 조선시대에서 출세하려면, 일단 관리가 되었어도 다시 과거를 봐서 전보다 높은 등수를 얻는 '과거 재수'가 필요했습니다. 지금 9급 공무원이 7급 시험을 준비하는 것처럼 말이지요.
이외에도 관직 임용의 뒷구멍으로 과거 시험을 안 봐도 인맥(아버지)으로 벼슬을 받는 길도 있었습니다.
단, 이런 3)음관은 낮은 벼슬만 할 수 있었습니다. 높은 벼슬에 오르려면 반드시 과거에 합격해야 했습니다.
“아무리 권력이 있어도 과거시험을 통과해야만 높은 관직에 올라갈 수 있는 것, 그게 조선시대의 출세였습니다.”
1) 녹봉 전근대사회에서 국가가 관리에게 봉급으로 준 쌀 ·보리 ·명주 ·베 ·돈 따위를 이르는 말.
2) 무록관 조선시대 녹봉을 지급받지 못하던 관리 또는 그 관직.
2) 음관 고려·조선 시대 공신 및 고위 관원의 자제로서 음직이 제수된 자.
조선시대의 관직 중에서 제일 높은 정1품으로는 관리 중에서 가장 높은 자리하면 역시나 영의정입니다.
정 1품이자 모든 관리의 우두머리이고 임금님 아래 가장 높은 벼슬로 지금의 국무총리 자리입니다.
이런 영의정들 중에서도 다채로운 사람들이 많은데요...
황희는 18년 동안 영의정이었습니다.
그는 나이를 이유로 사직하겠다고 했지만, 세종이 놔주질 않았습니다.
그는 87세에 겨우 은퇴했으나 그건 세종이 세상을 떠나기 4달 전이었습니다.
신경진은 인조 21년 3월 6일에 영의정이 되었지만 11일에 사망했습니다.
나이 68세로 영의정이 된 지 6일 만이었습니다.
구성준 이준은 실력으로 영의정이 된 게 아닌, 세조가 조카를 낙하산 시켰습니다.
낙하산이 아닌 본인의 실력으로 최연소 영의정이 된 사람은 한음 이덕형 이었습니다.
‘최연로 영의정도 당연 황희 아닐까?’ 싶겠지만 의외로 고종 때의 정승인 정원용입니다.
황희는 87세에 은퇴했지만, 정원용은 88세에 영의정을 그만 두었습니다.
그 후에 91세로 세상을 떠났습니다.
조선왕조 500년 동안 영의정의 숫자는 247명, 한 사람이 여러 번 했던 것까지 감안하면 200명 남짓입니다.
평균 458일 동안 재직해 있었습니다.
1)좌의정이 357일이고,
2)이조전랑이 109일,
3)형조판서가 고작 87일의 임기를 지냈던 데에 비하면 긴 시간이었습니다.
하지만 관직에 올라 얼마나 오래 지냈는가는 그렇게까지 중요하지 않았습니다.
얼마나 많은 권력과 부를 휘두를 수 있었느냐가 더 중요하지요.
1) 좌의정 조선시대 영의정 ·우의정과 더불어 최고 관부인 의정부 3정승의 하나.
2) 이조전랑 조선시대 중앙 부서인 6조 중 하나인 이조의 관직.
3) 형조판서 조선시대 법률 ·소송 ·형옥 등의 일을 관장한 형조의 정2품 장관.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50조 및 「금융투자업이해상충방지규정」
제15조 등에 의거하여 아래와 같이 교보생명의 정보교류 차단과 관련된 주요 내용을 공개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조해 주시기 바랍니다.
구분 | 기초수급자 지원 | 영세자영업자 등 지원 | 개인워크아웃 (개인신용회복) |
개인회생제도 |
---|---|---|---|---|
신청기관 | 자산관리공시 | 신용회복위원회 | 신용회복위원회 | 법원 |
시행시기 | 2005년 5월 9일부터 6개월간 한시적 |
2005년 5월부터 시행 | 2002년 10월 1일부터 | 2004년 9월 23일부터 |
대상채권 | 1개 금융기관 단독채무자 및 다중채무자 모두 대상 |
1개 금융기관 단독채무자 및 다중채무자 모두 대상 |
협약에 가입한 2개 이상 금융기관 채권 |
제한 없음(사채 포함) |
채무범위 | 제한 없음 | 제한 없음 | 5억원 이하 | 무담보채무(5억) 담보채무(10억) |
대상채무자 | 기초수급자이면서 신용불량자 (2005.03.23 기준) |
|
신용불량자이며 최저생계비 이상 소득자 |
파산지경에 이른 봉급생활자 또는 영업소득자 |
채무조정수준 | 채무자의 총채무액을 채무조정을 통해 장기분할상환 |
채무자의 총채무액을 채무조정을 통해 장기분할상환 |
채무자의 총채무액을 채무조정을 통해 장기분할상환 |
8년 이내 변제기간에 채무자가 정한 변제계획에 의한 변제 |
신용회복지원을 신청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3가지 요건을 모두 갖추어야 함
다음 사유 중 하나라도 해당되면 신용회복지원신청을 할 수 없음
지부명 | 전화번호 | 지부정보 (주소/위치 안내) |
---|---|---|
서울 명동본관 | 02-6337-2000 | 서울특별시 중구 명동 1가 10-1 명동센트럴빌딩 6층 (한국 외환은행본점 뒤편) |
서울 영등포지부 | 02-6337-2000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영등포동 3가 18 영등포프라자 10층 (영등포 마사회빌딩 10층) |
부산지부 | 051-638-8890 | 부산광역시 동구 범일동 825-3 (눌원빌딩 6층) |
대구지부 | 053-428-9360 | 대구광역시 중구 북성로 1가 6-1번지 (대우빌딩 4층(대구역 앞)) |
광주지부 | 062-233-1872 | 광주광역시 동구 금남로 5가 127 (금호종합금융(주) 6층) |
대전지부 | 042-538-0320 | 대전광역시 중구 오류동 188-15 (사학연금회관 5층) |
인천지부 | 032-864-9460 | 인천광역시 남구 주안동 205-11 (주안역에서 (구)시민회관 방향 400미터 전방) |
경기도지부 | 031-234-6108 |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권선동 1246 (경기지방공사 내 1층) |
의정부상담소 | 031-844-9848 | 경기도 의정부시 의정부동 195-6 (의정부역앞 동부광장 건너편 한국시티(한미)은행 4층) |
원주상담소 | 033-764-1439 | 강원도 원주시 원동 58-1,마노벨라 빌딩 3층 (원주우체국에서 원주KBS방향 100m 지점) |
천안상담소 | 041-522-1459 | 충남 천안시 신부동 472-2, 천안축협 신부동지점 2층 (천안 시민회관 건너편) |
청주상담소 | 043-224-9521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남문로 2가 21-2 (하나로상호저축은행 남문로지점 2층) |
전주상담소 | 063-253-5941 | 전북 전주시 덕진구 덕진동 1가 1220-1 (전주종합경기장 1층 직5문) |
울산상담소 | 052-260-9413 | 울산광역시 남구 달동 873-6 (삼호빌딩 3층) |
마산상담소 | 055-292-5495 | 경상남도 마산시 석전2동 259-6 (석전4거리 경남은행본점 옆 무학빌딩 3층) |
순천상담소 | 061-742-9415 | 전라남도 순천시 저전동 206-2 (남교 5거리에서 순천여고 방향 30미터 지점) |
제주상담소 | 064-758-9413 | 제주시 이도1동 1736-1 (흥국생명빌딩 3층) |
강릉상담소 | 033-641-2765 | 강원도 강릉시 옥천동 95-3 (옥천오거리 인근 옥천빌딩 3층) |
광명상담소 | 02-2066-8539 | 경기도 광명시 철산 3동 384 (농협중앙회 광명시지부 지하1층) |
안동출장상담 | 054-851-6046 | 경북 안동시 명륜동 344 (안동시청 민원실) |
2004년 12월 31일 현재 신용불량자로서 다음의 요건을 충족하는 영세자영업자
2004년 12월 31일 기준 만 29세 이하의 미취업자로서 다음의 기준에 해당하는 채무자
2005년 4월 1일부터 6개월간
2004년 12월 31일 현재 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자 중
신용회복위원회 : 2005년 4월 1일부터 6개월간
2005년 3월 23일 현재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 의해 지정된 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자 중 전국은행연합회에 신용불량정보가 등록된 자로써,
지부명 | 전화번호 | 지부정보 (주소/위치 안내) |
---|---|---|
역삼본관 | 02-1588-3570 | 서울시 강남구 역삼동 814 |
부산지사 | 051-860-8000 | 부산광역시 연구 거제3동 581-1 |
광주지사 | 062-231-3000 | 광주광역시 동구 금남로 5가 183 |
대전지사 | 042-601-5163 | 대전광역시 둔산동 1264 |
대구지사 | 053-760-5000 | 대구광역시 수성구 중동 179 |
인천지사 | 032-509-1500 | 인천광역시 부평구 부평동 202-1 |
전주지사 | 063-230-1700 |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덕진동1가 1280-11 |
창원지사 | 055-269-8071 | 경상남도 창원시 중앙동 94-3 |
강릉지사 | 033-640-3434 | 강원도 강릉시 임당동 139 |
청주지사 | 043-279-2400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사직동 235-14 |
각종 신용회복지원제도를 통해서 신용회복이 어려운 경우에는 법원의 개인채무자회생 제도 또는 파산제도를 이용하세요.
개인채무자회생제도는 2004년 9월 중에 실시할 예정이며, 파산제도는 이미 시행 중에 있어 언제든지 신청이 가능합니다.
MS 인터넷 익스플로러(IE) 브라우저 서비스 지원이 2022년 06월 15일 종료됨에 따라 교보생명 홈페이지를 보다 안전하고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구글 크롬 브라우저 또는 MS 엣지 브라우저를 이용해 주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