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우수고객 안내
고객님을 위한 우수 고객 전용 서비스는
MY교보 > 혜택 > 교보 노블리에 서비스 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고객님을 위한 우수 고객 전용 서비스는
MY교보 > 혜택 > 교보 노블리에 서비스 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키보드 Crtl버튼과 마우스휠 "상하"로 움직이면
"확대" "축소"가 가능합니다.
요즘 세상을 보면 배타주의가 최고조에 달하고 있음을 느낀다. 배타주의는 기본적으로 나의 것을 다른 사람과 나누지 않으려는 태도다. 권력이 대표적이다. 권력의 속성은 그 힘을 나누어가질 수 없다는 것이다. 독점적으로 혼자 차지한다는 그 점이 바로 권력이다. 그래서 그것을 가지려고 그토록 애를 쓰는 것 같다. 권력만큼이나 배타적인 것이 또 있다. 이른바 명품 브랜드다. 명품 브랜드는 누구나 가질 수 없다는 점, 다시 말해 배타적인 속성을 지닌다는 점에서 인기를 끈다. 내가 산 이 옷은, 이 시계는, 이 자동차는 너희들이 가질 수 없어. 이렇게 말할 수 있을 때 그 명품을 소유한 사람은 자부심에 차오른다. 그렇다면 누구나 가질 수 있는 물건은 가치가 없을까? 누구나 가질 수 있는 물건은 명품이 될 수 없을까? 이 점을 한번 생각해 보자.
먼저 ‘명품 브랜드’라는 단어부터 짚고 넘어가자.
명품 브랜드라고 할 때 명품에 해당하는 실제 영어 단어는 ‘럭셔리luxury’다.
럭셔리는 한국말로 번역하면 ‘사치’다.
글자 그대로 번역하면 사치 브랜드지 명품 브랜드가 아니다. 영어를 쓰는 나라에서는 왜 그것을 사치 브랜드라고 이름 지었을까? 샤넬, 구찌, 지미추, 롤렉스, 벤츠 따위의 럭셔리 브랜드는 갖고 싶다고 해서 쉽게 가질 수 있는 브랜드가 아니다. 그렇게 쉽게 가질 수 없는 브랜드를 가진 사람은 부러움의 대상이 된다. 그 사람이 부러움의 대상이 된 것은 그가 특별한 지식이나 통찰, 정신적 가치를 가져서가 아니다. 그저 독점적인 브랜드를 몸에 걸치고 있기 때문이다. 이 부러움이라는 것도 권력처럼 나누어가질 수 없다는 점에 주목해 보자. 부러움은 희소한 것을 소유한 사람에게서 비롯한다. 누구나 가진 것을 소유한 사람은 부러움의 대상이 되지 못한다. 부러움이란 비교 우위를 가진 자에게 돌아간다. 그렇다면 사치 브랜드란 자신만 가질 수 있는 소유물을 과시하려는 욕망을 자극한다고 볼 수 있다. 그것을 소유한 것만으로도 선망의 대상이 되고 우월한 지위를 획득할 수 있다는 사실은 그것을 살만한 여유가 없는 사람들에게조차 동기부여를 해준다. 그런 브랜드를 수식하는 단어로는 명품보다 사치가 훨씬 더 잘 어울린다.
역사학자 전우용에 따르면, 사치의 “사(奢)는 자기 권세나 재산을 과시하는 것”을 의미하고, 치(侈)는 “여럿이 쓸 수 있는 물건을 혼자 다 써버리는 것”을 뜻한다. 사치란 결국 과시의 형태다. 과시의 조건은 나누지 않고 혼자 독점한다는 점에서 성립된다. 독점한 것은 감출 수 없다. 반드시 다른 이에게 보여줘야 한다. 보여줘야 선망의 대상이 되기 때문이다. 선망을 받고자 하는 마음이 강하면 강할수록 독점의 욕망은 더욱 커진다. 독점의 욕망이 커질수록 사치 브랜드는 각광받는다. 사치 브랜드는 오래전부터 있었지만, 특정 시대에 더욱 각광받기 시작했다. 그 시점은 바로 1980년대다. 왜 1980년대일까? 1980년대는 이른바 레이거노믹스가 시작되면서 부의 쏠림 현상이 급속도로 진행되었기 때문이다. 레이거노믹스 시대는 한 마디로 졸부를 탄생시켰고, 빈부격차를 심화시켰다. 중산층이 줄어들었고 적은 수의 부자가 재산을 ‘독점’하다시피 했다. 독점한 부는 반드시 시각적으로 노출되어야 했다. 사치 브랜드가 그런 욕망을 실현시켜주었던 것이다. 가난한 이들까지 이 욕망에 참여한 것은 덤이다.
요즘 많은 젊은이가 우울증을 앓고 있다고 한다. 태어나자마자 SNS에 노출된 젊은이들은 가상 세계의 사회적 관계망에서 자신보다 우월해 보이는(실제로 우월한 것이 아니라 단지 사치 브랜드로 꾸민 외모에서 우월한 것처럼 보이는) 사람들은 보고 자신을 상대적으로 초라하고 결핍된 존재라고 여긴다. 이것이 바로 우울증의 원인이다. 지금처럼 비교와 경쟁이 절대적 가치가 된 시대가 있었을까? 지금처럼 소유한 부와 그것의 과시가 최고의 가치가 되었던 시절이 있었을까? 그리하여 배타주의와 독점주의가 판을 치는 세상이 된 것이다. 과시가 최고의 가치가 된다면 그 과시는 나누어가질 수 없을 때 비로소 의미가 있기 때문이다.
이 우울의 시대를 극복하는 방법은 나눔의 가치를 되살리는 길밖에 없다.
먼저 사치 브랜드보다 누구나 소유하고 누구나 나눌 수 있는 상품의 가치를 깨달을 필요가 있다.
나는 TV에서 아주 비싸고 탁월한 와인을 소개하면서 흔히 ‘신의 술’이라는 표현을 종종 본다. 그런 술은 가격으로 치면 한 병에 1천만 원을 호가하는 것도 흔히 볼 수 있다. 술 한 병이 1천만 원이 아니라 그보다 더한 값이 나간다고 해도 나쁠 것이 없다. 그것이 예술 작품이든 가구든 술이든 희소성이 가치가 생기면 값은 상상을 초월할 수 있다. 예술 작품이 그렇듯 술 역시 소수의 부자만이 배타적으로 즐길 수 있다면 그것은 과시의 대상이 되고, 권력의 도구로 전락하고 만다. 과연 신이 그런 술을 빚었을까? 신이 사람들에게 술을 선사한다면 비참하게 가난한 이도 즐길 수 있는 것을 만들었을 것이다. 소주와 막걸리야말로 신이 빚은 술이 아니겠는가? 신은 공평하며, 공평한 신이라면 누구나 나눌 수 있는 것을 만들 것으로 추측할 수 있기 때문이다.
권력과 금력을 가진 자는 어느 시대에나 있었고, 그들은 예술 작품 같은 아무나 소유할 수 없는 물건, 배타적이고 독점적인 물건으로 자신의 권력과 부를 과시했다. 그런 사람들은 아주 극소수였다. 나머지 사람들은 그런 것을 기대하지도 않고 살았다. 그런 시절에 장인들은 평범한 물건을 만들어 가난한 사람들도 사용할 수 있게 했다. 그런 물건은 비싸지면 안 된다. 대량생산 기술이 없던 시절에 사람들이 살아가는 데 필요한 물건을 만든 장인들은 기술을 연마했다. 그 기술의 핵심은 왕이나 귀족만이 가질 수 있는 놀라운 솜씨의 사치품을 빚어내는 그런 고급 기예가 아니었다. 그것은 물건을 아주 빠른 속도로 만들 수 있는 숙련도다. 물건을 빨리 만들려면 하나의 물건을 수도 없이 반복해서 만드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수천 번, 수만 번을 같은 물건을 반복하고 또 반복해서 만든다. 예를 들어 숙련된 도예가는 마치 기계처럼 정확하고 빠르게 그릇 하나를 뚝딱 만들어낸다. 그렇게 빨리 만들 수 있어야 그릇의 단가는 내려가고 여러 사람이 나눌 수 있게 된다. 그런 그릇을 가진 평범한 사람들은 그 그릇이 대단히 소중하다. 그것 없이는 가족이 밥을 먹을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런 생필품을 살림살이라고 하고, 근대화 이전 평범한 이들의 살림살이는 과시의 대상이 결코 될 수 없었다. 평범한 사람들을 위한 살림살이를 만들고 공급하는 장인들은 그것들이 사치품이 되는 것을 경계했다. 오직 왕과 귀족을 위한 사치품을 만드는 장인들만이 값비싼 재료로, 마케트리 같은 최고급 기술로 살림살이가 아닌 자랑할 수 있는 물건을 제작했다. 오늘날 그것은 예술 작품으로 평가된다.
하지만 평범한 사람들도 옷과 가구와 그릇은 필요했을 것이다. 그것을 만드는 장인은 그 최소한의 필요에 맞게 물건을 만들었던 것이다. 이때 그 장인은 어떤 심정으로 물건을 만들었을까? 최고의 기예를 뽐내 불후의 명작을 만들어보겠다는 태도로 임했을까? 그는 거의 무념무상으로 물건을 뽑아내다시피 했을 것이다. 그렇게 무념무상으로 물건을 재빠르게 만들 수 있었던 것은 그 기술을 수도 없이 반복했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가 만든 물건은 아주 평범하게 생겼을 것이다. 그런 기능을 하는 데 가장 적절한 형태로서 별로 자랑할 만한 것이 없는 그런 형태 말이다. 이런 평범한 물건을 만들어내는 장인의 기술은 왕과 귀족을 위해 사치스러운 물건을 만드는 장인만큼이나 탁월한 것이다. 무엇보다 그 물건이 특별하지 않고 가격도 비싸지 않으므로 누구나 가질 수 있다는 점에서 그 가치가 빛난다.
“내가 가진 것을 당신도 가졌군요.”
이렇게 공감하거나 공유할 수 있는 그 물건의 가치를 어느 순간 잃어버린 시대가 되었다.
오늘날 유니버설 디자인의 관점으로 보면, 장애인이나 노인, 어린이가 잘 사용할 수 있는 물건은 평범한 사람들도 잘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탁월하다. 글로 치면 중학생도 잘 읽을 수 있는 글은 고학력자도 잘 읽을 수 있다. 하지만 어느 때부터인가 이런 가치보다는 나만 소유할 수 있고, 나만 즐길 수 있고, 나만 경험할 수 있는 어떤 대상을 욕망하는 시대가 되어버렸다. 비교와 경쟁에 따라 과시와 자랑이 최고의 가치가 되었기 때문이다. 나 혼자 소유하고 즐기고 경험하는 것은 나눌 수 없다는 점에서 그리워하는 대상이 될 수 없다.
시간이 지나면 결국 같이 경험했고 나누었던 그 대상이야말로 우리를 정말 행복하게 할 것이다.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50조 및 「금융투자업이해상충방지규정」
제15조 등에 의거하여 아래와 같이 교보생명의 정보교류 차단과 관련된 주요 내용을 공개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조해 주시기 바랍니다.
구분 | 기초수급자 지원 | 영세자영업자 등 지원 | 개인워크아웃 (개인신용회복) |
개인회생제도 |
---|---|---|---|---|
신청기관 | 자산관리공시 | 신용회복위원회 | 신용회복위원회 | 법원 |
시행시기 | 2005년 5월 9일부터 6개월간 한시적 |
2005년 5월부터 시행 | 2002년 10월 1일부터 | 2004년 9월 23일부터 |
대상채권 | 1개 금융기관 단독채무자 및 다중채무자 모두 대상 |
1개 금융기관 단독채무자 및 다중채무자 모두 대상 |
협약에 가입한 2개 이상 금융기관 채권 |
제한 없음(사채 포함) |
채무범위 | 제한 없음 | 제한 없음 | 5억원 이하 | 무담보채무(5억) 담보채무(10억) |
대상채무자 | 기초수급자이면서 신용불량자 (2005.03.23 기준) |
|
신용불량자이며 최저생계비 이상 소득자 |
파산지경에 이른 봉급생활자 또는 영업소득자 |
채무조정수준 | 채무자의 총채무액을 채무조정을 통해 장기분할상환 |
채무자의 총채무액을 채무조정을 통해 장기분할상환 |
채무자의 총채무액을 채무조정을 통해 장기분할상환 |
8년 이내 변제기간에 채무자가 정한 변제계획에 의한 변제 |
신용회복지원을 신청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3가지 요건을 모두 갖추어야 함
다음 사유 중 하나라도 해당되면 신용회복지원신청을 할 수 없음
지부명 | 전화번호 | 지부정보 (주소/위치 안내) |
---|---|---|
서울 명동본관 | 02-6337-2000 | 서울특별시 중구 명동 1가 10-1 명동센트럴빌딩 6층 (한국 외환은행본점 뒤편) |
서울 영등포지부 | 02-6337-2000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영등포동 3가 18 영등포프라자 10층 (영등포 마사회빌딩 10층) |
부산지부 | 051-638-8890 | 부산광역시 동구 범일동 825-3 (눌원빌딩 6층) |
대구지부 | 053-428-9360 | 대구광역시 중구 북성로 1가 6-1번지 (대우빌딩 4층(대구역 앞)) |
광주지부 | 062-233-1872 | 광주광역시 동구 금남로 5가 127 (금호종합금융(주) 6층) |
대전지부 | 042-538-0320 | 대전광역시 중구 오류동 188-15 (사학연금회관 5층) |
인천지부 | 032-864-9460 | 인천광역시 남구 주안동 205-11 (주안역에서 (구)시민회관 방향 400미터 전방) |
경기도지부 | 031-234-6108 |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권선동 1246 (경기지방공사 내 1층) |
의정부상담소 | 031-844-9848 | 경기도 의정부시 의정부동 195-6 (의정부역앞 동부광장 건너편 한국시티(한미)은행 4층) |
원주상담소 | 033-764-1439 | 강원도 원주시 원동 58-1,마노벨라 빌딩 3층 (원주우체국에서 원주KBS방향 100m 지점) |
천안상담소 | 041-522-1459 | 충남 천안시 신부동 472-2, 천안축협 신부동지점 2층 (천안 시민회관 건너편) |
청주상담소 | 043-224-9521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남문로 2가 21-2 (하나로상호저축은행 남문로지점 2층) |
전주상담소 | 063-253-5941 | 전북 전주시 덕진구 덕진동 1가 1220-1 (전주종합경기장 1층 직5문) |
울산상담소 | 052-260-9413 | 울산광역시 남구 달동 873-6 (삼호빌딩 3층) |
마산상담소 | 055-292-5495 | 경상남도 마산시 석전2동 259-6 (석전4거리 경남은행본점 옆 무학빌딩 3층) |
순천상담소 | 061-742-9415 | 전라남도 순천시 저전동 206-2 (남교 5거리에서 순천여고 방향 30미터 지점) |
제주상담소 | 064-758-9413 | 제주시 이도1동 1736-1 (흥국생명빌딩 3층) |
강릉상담소 | 033-641-2765 | 강원도 강릉시 옥천동 95-3 (옥천오거리 인근 옥천빌딩 3층) |
광명상담소 | 02-2066-8539 | 경기도 광명시 철산 3동 384 (농협중앙회 광명시지부 지하1층) |
안동출장상담 | 054-851-6046 | 경북 안동시 명륜동 344 (안동시청 민원실) |
2004년 12월 31일 현재 신용불량자로서 다음의 요건을 충족하는 영세자영업자
2004년 12월 31일 기준 만 29세 이하의 미취업자로서 다음의 기준에 해당하는 채무자
2005년 4월 1일부터 6개월간
2004년 12월 31일 현재 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자 중
신용회복위원회 : 2005년 4월 1일부터 6개월간
2005년 3월 23일 현재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 의해 지정된 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자 중 전국은행연합회에 신용불량정보가 등록된 자로써,
지부명 | 전화번호 | 지부정보 (주소/위치 안내) |
---|---|---|
역삼본관 | 02-1588-3570 | 서울시 강남구 역삼동 814 |
부산지사 | 051-860-8000 | 부산광역시 연구 거제3동 581-1 |
광주지사 | 062-231-3000 | 광주광역시 동구 금남로 5가 183 |
대전지사 | 042-601-5163 | 대전광역시 둔산동 1264 |
대구지사 | 053-760-5000 | 대구광역시 수성구 중동 179 |
인천지사 | 032-509-1500 | 인천광역시 부평구 부평동 202-1 |
전주지사 | 063-230-1700 |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덕진동1가 1280-11 |
창원지사 | 055-269-8071 | 경상남도 창원시 중앙동 94-3 |
강릉지사 | 033-640-3434 | 강원도 강릉시 임당동 139 |
청주지사 | 043-279-2400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사직동 235-14 |
각종 신용회복지원제도를 통해서 신용회복이 어려운 경우에는 법원의 개인채무자회생 제도 또는 파산제도를 이용하세요.
개인채무자회생제도는 2004년 9월 중에 실시할 예정이며, 파산제도는 이미 시행 중에 있어 언제든지 신청이 가능합니다.
MS 인터넷 익스플로러(IE) 브라우저 서비스 지원이 2022년 06월 15일 종료됨에 따라 교보생명 홈페이지를 보다 안전하고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구글 크롬 브라우저 또는 MS 엣지 브라우저를 이용해 주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