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우수고객 안내
고객님을 위한 우수 고객 전용 서비스는
MY교보 > 혜택 > 교보 노블리에 서비스 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고객님을 위한 우수 고객 전용 서비스는
MY교보 > 혜택 > 교보 노블리에 서비스 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키보드 Crtl버튼과 마우스휠 "상하"로 움직이면
"확대" "축소"가 가능합니다.
김홍도(金弘道, 1745~1806년 이후)는 18세기 후반 조선에서 가장 뛰어난 화가였다. 김홍도는 중인 출신으로 그의 고조부, 증조부가 모두 무관이었다. 즉 그는 무관 벼슬을 한 중인 집안에서 태어나고 자랐다. 그러나 김홍도가 어디서 태어났으며 어떤 과정을 통해 도화서 화원(畵員)이 되었는지 등 그의 초년에 대한 정보는 매우 부족하다. 21세 때인 1765년에 도화서 화원으로 《경현당수작도계병》을 제작한 것을 보면 그는 대략 10대 후반에 도화서에 들어간 것으로 추정된다. 《경현당수작도계병》은 1764년 영조(英祖, 재위 1724~1776)가 즉위 40년, 나이 71세가 된 것을 기념하여 좌의정 김상복(金相福, 1714~1782)과 금위대장(禁衛大將) 이윤성(李潤成, 1719~?)이 발의하여 제작한 병풍이다. 그러나 아쉽게도 이 병풍은 현재 전하지 않는다. 김홍도는 정조(正祖, 재위 1776~1800)가 즉위하면서 일약 최고의 도화서 화원으로 입신했다. 정조의 김홍도에 대한 신뢰는 매우 깊어 궁중의 그림 관련 일을 모두 김홍도에게 맡겼다. 김홍도는 정조의 성은에 감격해 울곤 했다.
김홍도는 30대 초반에 《군선도》(1776년)(그림 1), 《행려풍속도》(1778년,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등 명작을 그렸으며 명성이 날로 높아져 국중(國中) 최고의 화가가 되었다. 그의 인기는 하늘을 치솟아 밀려드는 그림 주문을 감당하느라 먹고 잘 시간도 없을 정도였다. 김홍도는 독학으로 일가를 이룬 타고난 천재였다. 아주 어렸을 때 문인화가였던 강세황(姜世晃, 1713~1791)이 그에게 기초적인 그림 기법을 가르쳐주기는 했다. 그러나 김홍도와 강세황은 그림 실력에 있어 비교가 되지 않는다. 강세황이 김홍도의 그림 선생으로 자주 이야기되지만 이것은 사실이 아니다. 어떤 기록에도 김홍도가 누구에게 그림을 배웠는지 나와 있지 않다. 김홍도가 선생 없이 독학했음은 이용휴(李用休, 1708~1782)의 글에 잘 나타나 있다. 이용휴는 “김군 사능(김홍도)은 스승이 없이도 지혜로써 새로운 뜻을 창출하고, 그 붓이 간 곳에는 신(神)이 모두 함께 하니… 옛 사람이 보지 못함이 나의 한이다”라고 홍도가 스승 없이 그림의 대가로 성장했다고 말하였다. 홍신유(洪愼猷, 1722~?)는 “김사능(김홍도)은 나이 삼십이 채 못 되어 화명(畵名)을 세상에 떨쳤으니 대개 천재(天才)가 높은 탓이다”라고 김홍도가 천재였다고 평가하였다.
김홍도는 산수화, 인물화, 화조화, 도석화(道釋畵, 도교 및 불교 관련 그림) 등 그림의 모든 장르에 걸쳐 뛰어난 재능을 발휘했다. 이것은 다름 아닌 그의 천재성 때문에 가능했다. 도화서 화원 집안 출신의 쟁쟁한 선배 및 동료 화원들을 제치고 천재성 하나로 국중 최고의 화가로 성장하였다. 그 결과 김홍도는 정조가 가장 신임하고 아끼는 화가가 되었다. 정조는 1783년에 시행한 자비대령화원(차비대령화원) 선발에서 김홍도를 제외했다. 그 이유는 실력 면에서 김홍도와 자비대령화원은 비교 대상이 아니었기 때문이다. 정조는 도화서 화원들 중 우수한 화가 10명을 선발해 자비대령화원으로 삼았으며 이들을 규장각에 배속시켰다. 자비대령화원들은 당시 최고급의 화가들이었다. 그런데 이들 위에 김홍도가 있었다. 정조의 치세 기간 내내 김홍도는 자비대령화원이 아닌 매우 특별한 ‘왕의 화가’로 활동했다. 정조는 이와 같이 김홍도의 화가로서의 탁월한 능력을 높게 평가하였다. 18세기 후반 조선에서 김홍도는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최고의 화가였다. 정조의 초상화를 그린 공로로 김홍도는 안기찰방(1784~1786)과 연풍현감(1792~1795)을 지냈다. 그는 정조가 재위하는 동안 인생의 황금기를 누렸다.
그러나 만년의 김홍도는 초라했다. 1800년 6월 28일, 자신의 최대 후원자였던 정조가 갑자기 사망했다. 이 사건은 그에게 일대 충격이었다. 정조의 사망은 김홍도의 삶을 송두리째 흔들었다. 정조의 죽음에 큰 충격을 받았는지 그는 1년 반 동안 그림을 그리지 않았다. 김홍도는 본래 자비대령화원이 아니었다. 그런데 1804년 5월 5일 김홍도는 자비대령화원으로 처음 선발되어 이후 다른 자비대령화원과 함께 인사고과 시험인 녹취재(祿取才)에 응하게 되었다. 자비대령화원으로 선발된 것은 김홍도에게 엄청난 수치였다. 이때 그의 나이는 60세였다. 회갑이 다 된 김홍도는 젊은 자비대령화원들과 함께 이제 녹봉을 받는 직책을 다투기 위해 녹취재를 치러야 했다. 당시 그가 느꼈을 인간적 모멸감은 상당했을 것이다. 이런 이유에서인지 1805년 8월 19일에 마지막 녹취재를 치른 이후 김홍도는 병고에 시달렸다. 자비대령화원으로 활동하며 그는 극심한 스트레스에 시달린 것 같다. 그의 병은 점점 위중해져 생사를 오갈 정도로 심각해졌다. 정조가 죽은 후 김홍도에게 불어 닥친 시련은 혹독했다. 국중 최고의 화가에서 일개 자비대령화원으로 전락한 현실을 그가 감당하기는 너무도 어려웠던 것이다.
1805년 11월 그는 한창 병이 깊어 생사를 오가는 처지에 있었다. 이해 11월 29일에 김홍도는 김생원이라는 사람에게 편지를 보내 “가을부터 위독한 지경을 여러 차례 겪고 생사 간을 오락가락하였으니 오랫동안 신음하고 괴로워하는 중에 한 해의 끝이 다가오매 온갖 근심을 마음에 느끼지만 스스로 가련해 한들 어쩔 수 없습니다”라고 말하였다. 이 편지를 쓴 지 며칠 후 김홍도는 생애 마지막 그림인 <추성부도(秋聲賦圖)>(그림 2)를 완성하였다. <추성부도>를 그릴 무렵 김홍도는 목숨이 위태로울 정도로 아팠다.
<추성부도>는 북송(北宋)의 저명한 문인인 구양수(歐陽脩, 1007~1072)가 지은 「추성부(秋聲賦)」를 주제로 한 그림이다. 「추성부」는 어느 날 구양수가 책을 읽다가 서남쪽에서 나는 기이한 소리를 듣고 놀라 동자(童子)에게 무슨 소리인지를 알아보라고 한 것에서 시작된다. 동자는 그 소리가 나무 사이에서 나는 바람 소리라고 알려준다. 이것을 듣고 구양수는 조락(凋落)의 계절인 가을을 맞아 자연은 영원한데 인간의 삶은 유한하다는 사실을 깨닫는다. 그는 청년 시절의 붉은 얼굴이 마른 나무같이 시들어버리고 까맣던 머리도 백발이 되어버리는 인간의 삶을 생각하면서 인생무상을 느낀다. 결국 유한한 생명을 지닌 인간은 영원한 자연의 순환에 순응하면서 살아야 한다며 그는 「추성부」를 마쳤다.
김홍도는 <추성부도>의 끝에 구양수의 「추성부」 전문(全文)을 직접 써넣었다. 이 그림에서 김홍도는 마른 붓질인 갈필(渴筆)을 적극적으로 사용하여 가을날의 쓸쓸함, 차가운 공기와 매서운 바람, 처연한 달빛, 거칠고 황량한 나무 등 스산한 분위기의 가을밤 풍경을 그려냈다. 대각선 방향으로 포치(布置)된 바위산과 언덕은 초옥과 마당을 감싸고 있다. 화면 중앙에는 초옥(草屋) 안의 구양수와 나무를 가리키는 동자가 나타나 있다(그림 3). 「추성부」를 통해 구양수가 전하고자 했던 인생의 허망함과 쓸쓸함이라는 메시지를 김홍도는 <추성부도>를 통해 시각적으로 전달하고 있다. 표면적으로 <추성부도>는 구양수의 문학작품인 「추성부」를 그린 것이다. 그러나 <추성부도>는 실은 죽음에 직면한 김홍도가 자신의 심정을 그림으로 전한 것이다.
그가 「추성부」를 자신의 마지막 그림 주제로 정한 것은 그 의도가 매우 심중(深重)하다. 젊은 시절 김홍도는 고금의 어느 화가도 그와 대적할 수 없을 정도라는 극찬을 주위로부터 받은 조선 최고의 화가였다. 임금인 정조의 후원 속에 그는 화가로서 빛나는 인생을 살았다. 그러나 만년에 그는 선생님 댁에 보내는 삭전(朔錢), 즉 아들의 한 달 치 교육비도 내지 못할 정도로 곤궁했으며 생사를 오갈 정도로 아팠다. 매우 위중한 상태에서 김홍도는 자신의 인생을 뒤돌아보며 <추성부도>를 그렸다. 그는 이 그림을 통해 자신의 비애와 슬픔을 전하고자 했다. 김홍도는 <추성부도>에서 가을의 소리인 바람 소리를 흔들리는 나무들과 마당에 나부끼는 가을 나뭇잎을 통해 시각화하였다(그림 4). 이것을 보면 그가 천재화가였다는 것을 바로 알 수 있다. 죽음 직전에도 거장은 역시 거장이었다. 아픈 몸을 이끌고 김홍도는 사력을 다해 이 그림을 완성하였다. 동아시아에서 그려진 어떤 <추성부도>도 김홍도의 이 작품을 능가하지 못한다. <추성부도>는 죽음 앞에서 느낀 김홍도의 슬픈 심정을 알려주는 그의 자화상이자 그가 남긴 최후의 역작이었다.
<추성부도>를 그린 후 그는 전라감영이 있던 전주로 갔다. 얼마 후 평소 김홍도와 친분이 있었던 전라도 관찰사(전라감사) 심상규(沈象奎, 1766~1838)는 1805년 12월 31일 형조판서인 서용보(徐龍輔, 1757~1824)에게 보낸 편지에서 “김홍도가 굶주리고 아픈 상태로 취식(取食)을 위해 이곳에 왔다. … 어렵고 딱하기가 이와 같으니 동국(東國)의 타고난 재주로 가당치도 않다”고 하였다. 이 편지는 김홍도가 1805년 말에 밥을 얻어 먹으러 전주에 내려가 있었음을 알려준다. 이후 김홍도에 관한 다른 기록이 없는 것을 보면 1806년에 그는 전주에서 사망한 것으로 보인다. 한 시대를 울린 거장의 마지막은 너무나 초라했다.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50조 및 「금융투자업이해상충방지규정」
제15조 등에 의거하여 아래와 같이 교보생명의 정보교류 차단과 관련된 주요 내용을 공개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조해 주시기 바랍니다.
구분 | 기초수급자 지원 | 영세자영업자 등 지원 | 개인워크아웃 (개인신용회복) |
개인회생제도 |
---|---|---|---|---|
신청기관 | 자산관리공시 | 신용회복위원회 | 신용회복위원회 | 법원 |
시행시기 | 2005년 5월 9일부터 6개월간 한시적 |
2005년 5월부터 시행 | 2002년 10월 1일부터 | 2004년 9월 23일부터 |
대상채권 | 1개 금융기관 단독채무자 및 다중채무자 모두 대상 |
1개 금융기관 단독채무자 및 다중채무자 모두 대상 |
협약에 가입한 2개 이상 금융기관 채권 |
제한 없음(사채 포함) |
채무범위 | 제한 없음 | 제한 없음 | 5억원 이하 | 무담보채무(5억) 담보채무(10억) |
대상채무자 | 기초수급자이면서 신용불량자 (2005.03.23 기준) |
|
신용불량자이며 최저생계비 이상 소득자 |
파산지경에 이른 봉급생활자 또는 영업소득자 |
채무조정수준 | 채무자의 총채무액을 채무조정을 통해 장기분할상환 |
채무자의 총채무액을 채무조정을 통해 장기분할상환 |
채무자의 총채무액을 채무조정을 통해 장기분할상환 |
8년 이내 변제기간에 채무자가 정한 변제계획에 의한 변제 |
신용회복지원을 신청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3가지 요건을 모두 갖추어야 함
다음 사유 중 하나라도 해당되면 신용회복지원신청을 할 수 없음
지부명 | 전화번호 | 지부정보 (주소/위치 안내) |
---|---|---|
서울 명동본관 | 02-6337-2000 | 서울특별시 중구 명동 1가 10-1 명동센트럴빌딩 6층 (한국 외환은행본점 뒤편) |
서울 영등포지부 | 02-6337-2000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영등포동 3가 18 영등포프라자 10층 (영등포 마사회빌딩 10층) |
부산지부 | 051-638-8890 | 부산광역시 동구 범일동 825-3 (눌원빌딩 6층) |
대구지부 | 053-428-9360 | 대구광역시 중구 북성로 1가 6-1번지 (대우빌딩 4층(대구역 앞)) |
광주지부 | 062-233-1872 | 광주광역시 동구 금남로 5가 127 (금호종합금융(주) 6층) |
대전지부 | 042-538-0320 | 대전광역시 중구 오류동 188-15 (사학연금회관 5층) |
인천지부 | 032-864-9460 | 인천광역시 남구 주안동 205-11 (주안역에서 (구)시민회관 방향 400미터 전방) |
경기도지부 | 031-234-6108 |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권선동 1246 (경기지방공사 내 1층) |
의정부상담소 | 031-844-9848 | 경기도 의정부시 의정부동 195-6 (의정부역앞 동부광장 건너편 한국시티(한미)은행 4층) |
원주상담소 | 033-764-1439 | 강원도 원주시 원동 58-1,마노벨라 빌딩 3층 (원주우체국에서 원주KBS방향 100m 지점) |
천안상담소 | 041-522-1459 | 충남 천안시 신부동 472-2, 천안축협 신부동지점 2층 (천안 시민회관 건너편) |
청주상담소 | 043-224-9521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남문로 2가 21-2 (하나로상호저축은행 남문로지점 2층) |
전주상담소 | 063-253-5941 | 전북 전주시 덕진구 덕진동 1가 1220-1 (전주종합경기장 1층 직5문) |
울산상담소 | 052-260-9413 | 울산광역시 남구 달동 873-6 (삼호빌딩 3층) |
마산상담소 | 055-292-5495 | 경상남도 마산시 석전2동 259-6 (석전4거리 경남은행본점 옆 무학빌딩 3층) |
순천상담소 | 061-742-9415 | 전라남도 순천시 저전동 206-2 (남교 5거리에서 순천여고 방향 30미터 지점) |
제주상담소 | 064-758-9413 | 제주시 이도1동 1736-1 (흥국생명빌딩 3층) |
강릉상담소 | 033-641-2765 | 강원도 강릉시 옥천동 95-3 (옥천오거리 인근 옥천빌딩 3층) |
광명상담소 | 02-2066-8539 | 경기도 광명시 철산 3동 384 (농협중앙회 광명시지부 지하1층) |
안동출장상담 | 054-851-6046 | 경북 안동시 명륜동 344 (안동시청 민원실) |
2004년 12월 31일 현재 신용불량자로서 다음의 요건을 충족하는 영세자영업자
2004년 12월 31일 기준 만 29세 이하의 미취업자로서 다음의 기준에 해당하는 채무자
2005년 4월 1일부터 6개월간
2004년 12월 31일 현재 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자 중
신용회복위원회 : 2005년 4월 1일부터 6개월간
2005년 3월 23일 현재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 의해 지정된 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자 중 전국은행연합회에 신용불량정보가 등록된 자로써,
지부명 | 전화번호 | 지부정보 (주소/위치 안내) |
---|---|---|
역삼본관 | 02-1588-3570 | 서울시 강남구 역삼동 814 |
부산지사 | 051-860-8000 | 부산광역시 연구 거제3동 581-1 |
광주지사 | 062-231-3000 | 광주광역시 동구 금남로 5가 183 |
대전지사 | 042-601-5163 | 대전광역시 둔산동 1264 |
대구지사 | 053-760-5000 | 대구광역시 수성구 중동 179 |
인천지사 | 032-509-1500 | 인천광역시 부평구 부평동 202-1 |
전주지사 | 063-230-1700 |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덕진동1가 1280-11 |
창원지사 | 055-269-8071 | 경상남도 창원시 중앙동 94-3 |
강릉지사 | 033-640-3434 | 강원도 강릉시 임당동 139 |
청주지사 | 043-279-2400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사직동 235-14 |
각종 신용회복지원제도를 통해서 신용회복이 어려운 경우에는 법원의 개인채무자회생 제도 또는 파산제도를 이용하세요.
개인채무자회생제도는 2004년 9월 중에 실시할 예정이며, 파산제도는 이미 시행 중에 있어 언제든지 신청이 가능합니다.
MS 인터넷 익스플로러(IE) 브라우저 서비스 지원이 2022년 06월 15일 종료됨에 따라 교보생명 홈페이지를 보다 안전하고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구글 크롬 브라우저 또는 MS 엣지 브라우저를 이용해 주시길 바랍니다.